스포큰 워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포큰 워드는 언어의 소리 구조를 활용하여 구두 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통해 일반적인 담론과 구별되는 형태의 시를 의미한다. 고대 그리스, 아프리카 등에서 구전 문화의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19세기 미국에서 배우와 음악의 결합 시도로 발전했다. 20세기에는 할렘 르네상스, 비트 세대, 시민권 운동의 영향을 받아 미국에서 스포큰 워드 시가 성장했으며, 1970년대 이후 프랑스 등 여러 국가로 확산되었다. 2010년대부터 한국에서도 스포큰 워드가 알려지기 시작하여 워크숍, 모임, 공연 등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고 있다. 스포큰 워드 시는 경쟁적인 환경에서 공연되기도 하며, 사회적으로 중요한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기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장르별 시 - 렌가
렌가는 여러 시인이 협력하여 짓는 일본의 연쇄시 형식으로, 창화문답가에서 기원하여 가마쿠라 시대부터 무로마치 시대에 번성했으며, 소기 등의 시인이 활약하며 전성기를 맞았으나, 에도 시대에 하이카이 렌가가 등장하고 메이지 시대에 하이쿠로 발전하면서 쇠퇴 후 현대에 전통과 현대적 시도가 공존하며 인터넷 창작 시도가 이어진다. - 장르별 시 - 절명시
절명시는 죽음을 앞두고 짓는 시로,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나타나는 독특한 문화 현상이며, 개인의 죽음에 대한 성찰과 시대적 상황, 충절, 저항 정신 등을 담아낸다. - 행위 예술 - 해프닝
해프닝은 1950년대 후반 뉴욕 예술가들이 시작한 즉흥적이고 참여적인 공연 예술 형식으로, 관객 참여를 통해 예술과 삶의 경계를 허물고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며 전 세계로 확산되었다. - 행위 예술 - 드래그 퀸
드래그 퀸은 과장된 여성적 스타일로 분장하고 공연하는 사람을 지칭하며, 드래그의 한 형태로 성별 개념을 다루고 비판하는 예술가이며, 트랜스젠더 드래그 퀸 인정 여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스포큰 워드 | |
|---|---|
| 스포큰 워드 | |
![]() | |
| 종류 | 공연 예술 |
| 하위 장르 | 시 낭송 힙합 스램 시 이야기 공연 연극 독백 스탠드업 코미디 노래 즉흥 연주 |
| 특징 | |
| 주요 특징 | 청중과의 직접적인 소통 개인적인 표현 사회적 메시지 전달 |
| 관련 요소 | 운율 리듬 억양 몸짓 표정 |
| 역사 및 발전 | |
| 기원 | 1960년대 후반 미국 흑인 예술 운동 |
| 발전 | 힙합 문화와 결합, 다양한 형태로 발전 |
| 영향 | 사회 비판, 개인적인 이야기, 정체성 탐구 등 다양한 주제 다룸 |
| 주요 인물 | |
| 대표적인 스포큰 워드 아티스트 | 솔 윌리엄스 질 스콧 에리카 바두 탈리브 콸리 에이미 와인하우스 |
| 스포큰 워드의 형태 | |
| 주요 형태 | 시 낭송회 스포큰 워드 공연 슬램 포에트리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발표 |
| 관련 용어 | |
| 관련 용어 | 시 낭송 힙합 슬램 포에트리 퍼포먼스 아트 |
| 스포큰 워드의 영향력 | |
| 영향력 |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 개선 개인의 감정 및 경험 공유 예술적 표현의 다양성 확대 |
| 참고 자료 | |
| 관련 서적 | Edward Hirsch, "A Poet's Glossary" (2014) |
2. 역사
스포큰 워드는 문자가 생기기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사람들은 이를 연습하고, 듣고, 암기하는 과정을 거쳤다. 각 언어는 소리 구조를 활용하여 구두 패턴을 형성했는데, 이는 스포큰 워드 시를 일반적인 대화와 구별되게 만들었으며 기억하기 쉽게 만들었다.[2] 시인 T.S. 엘리엇이 언급했듯, "시는 한 사람이 다른 사람에게 말하는 것"이며,[6] 인쇄술이 발명되기 훨씬 전부터 시는 주로 입으로 말하고, 소리 내어 읽고, 들어야 하는 구술적 표현 방식이었다.[3]
시는 음악처럼 귀에 호소하는 특징이 있으며, 이는 유포니나 의성어와 같은 기법을 통해 드러난다.[4] 동아프리카 키쿠유족의 한 시인은 작가 이사크 디네센에게 자신의 시를 "다시 말하고, 비처럼 말해줘"라고 표현하기도 했다.[5] 글쓰기가 아닌 주로 말을 통해 전달되는 구술 전통[7] 속에서 속담이나 격언은 문화적 신념과 태도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었다.[8] 우리가 시의 구절에서 느끼는 청각적 지식은 유아기부터 익숙해진 언어 패턴에 대한 지식과 연결된다.[9]
퍼포먼스 시는 퍼포먼스 아트와 유사하게 소리 내어 공연하기 위해 쓰여졌으며,[10] 기록된 형태보다는 즉흥적인 표현을 중시하는 경향이 있다.[11] 시인 도널드 홀이 지적했듯이, 스포큰 워드에서는 "형식은 내용의 연장에 불과"할 수 있다.[12]
스포큰 워드의 기원은 고대 아프리카와 그리스의 구술 시 전통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아프리카에서는 그리오와 같은 서사 시인들이 활동했으며, 고대 그리스에서는 랩소디들이 시를 낭송했다. (자세한 내용은 #고대 문단 참고)
미국에서는 20세기 초 랭스턴 휴스와 같은 문학가들이 스포큰 워드의 초기 형태를 보여주었다. 또한 W. E. B. 듀보이스, 부커 T. 워싱턴, 마틴 루터 킹 주니어 목사와 같은 시민 운동가부터 마커스 가비와 같은 급진적 활동가, 그리고 마야 안젤루와 같은 여성 작가에 이르기까지 많은 인물들이 스포큰 워드를 활용했다. 맬컴 엑스 사후에는 그의 사상을 계승한 블랙 팬서당, 바비 실, 스토클리 카마이클 등이 등장했으며, 음악가 더 라스트 포에츠[44]와 길 스콧 헤론[45] 등도 스포큰 워드 발전에 기여했다. 1950년대 비트 제너레이션은 반항적인 메시지를 표현하는 수단으로 스포큰 워드를 활용했으며, 1990년대에는 더욱 다양하고 솔직한 스타일의 스포큰 워드가 대중적인 관심을 받기도 했다. 이 시기에는 랩과의 경계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미국에서의 발전 문단 참고)
스포큰 워드는 미국 외에도 프랑스, 영국, 아프리카 여러 나라 등 전 세계적으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으며, 오늘날에도 활발한 예술 형식으로 존재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국제적 발전 및 #일본에서의 스포큰 워드 문단 참고)
2. 1. 고대
스포큰 워드는 문자가 생기기 훨씬 이전부터 존재했으며, 사람들은 이를 연습하고, 듣고, 암기하는 과정을 거쳤다. 각 언어는 소리 구조를 활용하여 구두 패턴을 형성했고, 이는 스포큰 워드 시를 일반적인 대화와 구별되게 만들었으며 기억하기 쉽게 만들었다.[2]아프리카의 퍼포먼스 시는 수렵 시의 창작과 함께 선사 시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애가와 찬양 시는 나일강, 니제르강, 볼타강 유역 제국의 역사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발전했다.[13] 그리오라 불리는 서사 시인들이 활동했으며, 가장 잘 알려진 서사시 중 하나는 말리 제국의 창시자인 선디아타 케이타의 이야기를 다룬 선자타 서사시이다. 아프리카 문화에서 퍼포먼스 시는 연극의 일부였으며, 이는 식민주의 시대 이전 아프리카 생활의 모든 측면에 존재했다.[14] 이러한 연극 의식은 정치, 교육, 영적 활동, 오락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했다. 시 낭송은 지역의 구두 예술가, 언어학자, 역사가들의 연극 공연에서 중요한 요소였으며, 코라, 잘람, 음비라, 젬베 드럼과 같은 지역 악기가 함께 연주되었다. 이러한 악기 반주는 '토킹 드럼' 공연과는 구별된다. '토킹 드럼'은 그 자체로 문학의 한 형태이며, 음악적 요소보다는 문법, 음조, 리듬 규칙을 통해 의미를 전달하는 독특한 의사소통 방식이다.[15][16]
고대 그리스에서는 구두, 즉 말이 생각을 담는 가장 신뢰할 수 있는 방법으로 여겨졌다. 따라서 문화적 보물을 보존하고 전달하는 능력을 갖춘 사람들, 예를 들어 랩소디에게는 보상이 주어졌다.[18] 고대 그리스에는 그리스 서정시가 있었는데, 이는 오늘날의 스포큰 워드 시와 유사한 형태로 고대 올림픽과 같은 행사에서 공연되었다.[19]
2. 2. 미국에서의 발전
1849년, ''홈 저널''은 배우 소피 슈뢰더와 패니 켐블이 시연한 것처럼, 말로 낭독하는 것과 음악을 결합한 콘서트에 대해 보도했다.[20]20세기 초, 배첼 린제이는 시를 구술 예술로 유지하는 데 기여했으며,[21] 마리온 바우어, 루스 크로포드 시거, 랄라 릭코프와 같은 작곡가들은 말과 결합된 음악을 작곡했다.[20] 로버트 프로스트 역시 자연스러운 문장을 살린 훌륭한 화술을 구사했다.[22] 계관 시인 로버트 핀스키는 "시의 적절한 절정은 누군가의 목소리로 큰 소리로 읽는 것이며, 시를 큰 소리로 읽는 사람은 시의 적절한 매체가 된다"고 언급하며 구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23] 1950년대 후반 미국에서는 시 낭독 문화가 활발해졌다.[22]
미국의 스포큰 워드 시는 할렘 르네상스의 시,[24] 블루스, 그리고 1960년대의 비트 세대에서 유래했다.[25]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 문화의 스포큰 워드는 풍부한 문학적, 음악적 유산을 바탕으로 발전했다. 랭스턴 휴스와 할렘 르네상스 작가들은 블루스와 영가에서 영감을 받았으며, 이후 힙합과 슬램 시 예술가들은 휴스와 같은 시인들의 표현 방식에 영향을 받았다.[26]
시민권 운동 또한 스포큰 워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I Have a Dream" 연설, 소저너 트루스의 "Ain't I a Woman?" 연설, 부커 T. 워싱턴의 "Cast Down Your Buckets"와 같은 주목할 만한 연설들은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 내 스포큰 워드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주었다.[26] 더 라스트 포에츠는 1960년대에 결성된 시와 정치 음악 그룹으로, 시민권 운동에서 태어나 아프리카계 미국 문화 내에서 스포큰 워드의 인기를 높이는 데 기여했다.[27] 길 스콧 헤론의 스포큰 워드 시 "The Revolution Will Not Be Televised"가 1970년 앨범 ''Small Talk at 125th and Lenox''에 발표되면서, 스포큰 워드는 더 넓은 미국 문화 속으로 확산되었다.[28]
1973년 뉴욕 로어 이스트사이드에 설립된 누요리칸 포에츠 카페는 스포큰 워드 시를 발표하는 유서 깊은 장소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29]
1980년대에는 종종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는 스포큰 워드 시 경연 대회인 '시 슬램'이 등장했다. 미국 시인 마크 스미스가 1984년 11월 시 슬램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1990년에는 첫 전국 시 슬램이 샌프란시스코 포트 메이슨에서 개최되었다.[30]
1990년대에 들어서면서 미국의 시 세계에서 스포큰 워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이는 비트 제너레이션과는 달리 반드시 정치적인 동기를 필요로 하지 않는, 강력하고 솔직한 표현 방식의 새로운 스포큰 워드 흐름이었다. 이 시기 매기 에스텝, 레그 E. 게인즈, 헨리 롤린스, 존 S. 홀, 다나 브라이언트 등이 주목받는 스포큰 워드 아티스트로 부상했다. MTV는 이들을 출연시킨 "Spoken Word Unplugged"라는 프로그램을 방영하기도 했으나, 큰 반향을 얻지는 못했다. 이 시기에는 랩과 스포큰 워드의 경계에 대한 논의도 있었는데, 일부 아티스트들은 랩이 스포큰 워드보다 음악적 요소가 강하다고 주장했다.
1990년대 후반 샌프란시스코에서는 시인 로열 켄트와 작곡가 웬디 루미스가 스포큰 워드와 음악을 결합한 COPUS를 결성하여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시 슬램 운동은 러셀 시몬스의 ''데프 포에트리''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HBO에서 방영되면서 더 넓은 대중에게 알려졌다.
2021년, COPUS의 웬디 루미스는 그래미 어워드에 스포큰 워드 시 부문을 오디오북 및 스토리텔링 부문에서 분리해 달라는 청원을 제출했다. 이전까지 해당 부문 상은 시인에게 수여된 경우가 마야 안젤루(1993, 1995, 2002년 수상) 외에는 드물었고, 힐러리 클린턴, 지미 카터, 미셸 오바마 등 다른 분야 인물에게 주로 수여되었다. 여러 청원에 따라 레코딩 아카데미는 논의를 거쳐 2022년 '최우수 스포큰 워드 시 앨범' 부문을 신설했고, 2023년 J. Ivy가 첫 수상자가 되었다.
전쟁 전 랭스턴 휴스와 같은 문학가, W. E. B. 듀보이스, 마커스 가비와 같은 시민 운동가 및 활동가, 마야 안젤루와 같은 여성 작가, 그리고 맬컴 X 사후의 블랙 팬서당, 바비 실, 스토클리 카마이클 등도 스포큰 워드 역사에서 언급된다.[44][45] 1990년대의 주류적 관심 이후에도 스포큰 워드는 예술 형식으로서 꾸준히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2. 3. 국제적 발전

미국 외 지역에서도 스포큰 워드는 다양한 형태로 발전해왔다. 프랑스에서는 싱어송라이터 레오 페레와 세르주 갱스부르 같은 예술가들이 1970년대 초부터 록 음악이나 교향악에 스포큰 워드를 접목하여 ''아무르 아나르시''(1970), ''멜로디 넬슨의 이야기''(1971), ''일 나 파 플뤼 리앙''(1973) 등의 앨범을 발표하며 프랑스 문화 내 스포큰 워드의 대중화에 기여했다. 2003년에는 파비앙 마르소(Fabien Marsaud), 즉 그랑 코르 말라드가 이 장르의 선구자로 부상하며 프랑스에서 스포큰 워드 운동이 절정에 달했다.[31][32]
영국에서는 블러[33], 더 스트리츠, 케이 템페스트 등이 스포큰 워드 스타일의 가사를 선보인 대표적인 뮤지션이다.
짐바브웨에서는 주로 하라레의 '하우스 오브 헝거 포에트리 슬램'(House of Hunger Poetry slam), 불라와요의 '믈로모 와코 포에트리 슬램'(Mlomo Wakho Poetry Slam), 마스빙고의 '찰스 오스틴 극장'(Charles Austin Theatre) 등을 통해 스포큰 워드 공연이 활발히 이루어졌다. 하라레 국제 예술 축제, 인트와 예술 축제 코불라와요, 쇼코 페스티벌과 같은 축제들이 수년간 이 장르를 지원해왔다.[34]
트리니다드 토바고에서는 스포큰 워드가 사회 비평의 한 형태로 널리 사용되며, 연중 전국적으로 공연이 열린다. '2 센트 무브먼트'(The 2 Cent Movement)라는 단체가 주요 시 행사를 주관하며, NGC 보카스 문학 축제 및 퍼스트 시티즌스 은행과 협력하여 "더 퍼스트 시티즌스 내셔널 포에트리 슬램"(The First Citizens national Poetry Slam, 이전 명칭 "벌스스"(Verses))이라는 연례 행사를 개최한다. 이 단체는 초등학교 및 중등학교를 위한 시 낭송회와 워크숍을 주최하고 사회 문제에도 적극적으로 관여하고 있다.
가나에서는 코조 이보르 코조(Kojo Yibor Kojo, 일명 Sir Black)가 이끄는 시 단체 '에할라카사'(Ehalakasa)가 중심적인 역할을 한다. 이들은 매달 누부케 재단 및 가나 국립 극장과 협력하여 '토크파티'(TalkParty) 행사를 열고, [https://www.ghanaweb.com/GhanaHomePage/NewsArchive/Mawuli-Senior-High-School-wins-Ehalakasa-poetry-slam-championship-1212142 에할라카사 슬램 페스티벌] 및 연말 행사 등 특별 이벤트도 개최한다.[35][36][37] '에할라카사'는 무톰보 다 포엣(Mutombo da Poet)[38], 치프 무멘(Chief Moomen), 나나 아사세(Nana Asaase), 라임소니(RhymeSonny), 쿠 쿠미(Koo Kumi), 헌드레드 퍼센트(Hondred Percent), 주얼 킹(Jewel King), 파이바 버나드(Faiba Bernard), 아캄보(Akambo), 워드라이트(Wordrite), 나티 오글리(Natty Ogli), 필리파(Philipa) 등 많은 스포큰 워드 시인을 배출했다. 가나의 스포큰 워드 운동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MEGBORNA[39]와 같은 개별 아티스트들은 3D 애니메이션이나 스포큰 워드 비디오 게임(아직 발표되지 않은 시인 Alkebulan 기반)과 결합하는 등 새로운 시도를 통해 장르의 경계를 넓히고 있다.[40] 쿠마시에서는 창의 그룹 'CHASKELE'이 KNUST 캠퍼스에서 연례 스포큰 워드 행사를 개최하여 시인과 창작자들에게 플랫폼을 제공하고 있으며, 엘리디오 더 포엣(Elidior The Poet), 슬리모(Slimo), T-Maine 등이 핵심 멤버로 활동한다.

케냐에서는 199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초반 사이에 시 낭송 공연이 크게 성장했다. 'Kwani Open Mic', 'Slam Africa', 'Waamathai's', 'Poetry at Discovery', 'Hisia Zangu Poetry', 'Poetry Slam Africa', 'Paza Sauti', 'Anika', 'Fatuma's Voice', 'ESPA', 'Sauti dada', 'Wenyewe poetry' 등 다양한 주최자와 창작 허브들이 이를 이끌었다. 이 운동은 곧 다른 지역과 전국 대학교로 확산되었다. 케냐의 스포큰 워드는 아프리카 젊은이들이 겪는 문제에 대해 목소리를 낼 수 있는 중요한 소통 수단이 되었다. 케냐의 잘 알려진 시인으로는 Dorphan, Kenner B, Namatsi Lukoye, Raya Wambui, Wanjiku Mwaura, Teardrops, Mufasa, Mumbi Macharia, Qui Qarre, Sitawa Namwalie, Sitawa Wafula, Anne Moraa, Ngwatilo Mawiyo, Stephen Derwent 등이 있다.
2. 4. 일본에서의 스포큰 워드
일본에서는 스포큰 워드가 널리 퍼지지는 않았지만, 사노 모토하루, 스누페이 팬츠 등 스포큰 워드에 도전하는 아티스트도 존재한다.사노 모토하루는 스포큰 워드를 하는 이유에 대해 "퍼포머가 어느 국적에 속해 있든 일정한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 하에 그것을 시도했습니다."라고 밝혔다. 또한 그는 "저는 제 모국어에 자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모국어로 스포큰 워드를 하는 것이 제게는 매우 중요합니다. 원어의 이해를 넘어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에게 통하는 것이 있을 것이라는 확신이 어디에서 생기는가 하면, 그것은 모국어에 대한 신뢰에 있다고 생각합니다."라고 말하며 모국어에 대한 자부심과 신뢰를 강조했다.
3. 한국에서의 스포큰 워드
한국에서 스포큰 워드는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본격적으로 알려지고 다양한 형태로 시도되기 시작했다. 초기에는 래퍼 박하재홍 등이 문화예술 교육의 일환으로 스포큰워드 워크숍을 진행하며 대중에게 소개하는 역할을 했다.[47][48]
이후 '워드스미스(Word Smiths)'와 같이 정기적인 발표 모임이 생겨나고,[49] 시인 김경주, 힙합 평론가 김봉현, 래퍼 MC 메타 등이 결성한 "포에틱 저스티스"와 같은 그룹들이 포에트리 슬램 프로젝트를 시작하는 등[50] 점차 활동 영역이 넓어졌다. 또한 미국 스포큰워드 작가의 작품이 번역되어 소개되기도 했다.
시간이 흐르면서 워크숍, 공연, 오픈마이크 행사('가론: 포에트리 잼'[53], '비트포이트리'[52] 등), 미디어를 통한 콘텐츠 제작 및 연재,[55][60] 소셜 클럽('말하는 오후'[60]) 운영 등 스포큰 워드를 접하고 참여할 수 있는 경로가 다양해졌다. 특히 힙합, 문학뿐만 아니라 한국여성민우회의 '슬램 36.7%'[57]와 같이 사회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방식으로도 활용되며 한국 사회의 맥락 속에서 스포큰 워드의 가능성을 확장해나가고 있다.
3. 1. 2010~2014년
2010년 래퍼 박하재홍은 문화예술수업의 일환으로 스포큰워드 워크숍을 개발했다. 그의 워크숍은 '랩과 문학의 만남, 슬램'이라는 이름으로 전국의 중고등학교, 도서관, 문화카페 등에서 수시로 진행되었다.[47][48] 이 성과를 바탕으로 2012년에는 《랩으로 인문학 하기》를 집필했다.2013년에는 서울에서 정기적으로 스포큰워드를 발표하는 모임 '워드스미스(Word Smiths)'가 시작되었다. 이 모임에는 주로 영어 낭독자들이 참여한다.[49]
2014년에는 시인 김경주, 힙합 평론가 김봉현, 래퍼 MC 메타가 "포에틱 저스티스"를 결성했다. 이들은 같은 해 10월 18일 대구광역시 소셜마켓에서 공식적인 포에트리 슬램 프로젝트를 시작했다.[50] 같은 달, 시인 김경주가 번역한 미국 스포큰워드 작가 셰인 코이잔의 작품집 《아마도 그건 아물 거야》가 출판되었다. 11월에는 래퍼 아날로그소년과 시인 김경현이 서울 신촌서당에서 스포큰워드 강좌를 열었다.
3. 2. 2015~2017년
2015년, 래퍼 박하재홍은 재즈, 블루스, 힙합 음악 등에 맞춰 즉흥적으로 시를 낭독하는 방식을 워크숍에 포함시켰다.[51] 같은 해, 라벨 엔터테인먼트는 서울의 소풍쉐어하우스에서 '이야기로 말하는 콘서트, 비트포이트리'를 시작했고,[52] 서울 오피스커피에서는 스포큰워드 오픈마이크 행사인 '가론: 포에트리 잼'이 시작되었다.[53] 또한 미국 언더그라운드 래퍼 oddisee영어의 내한공연 부대행사로 스포큰워드 공연이 열리기도 했다.[54]2017년에는 "포에틱 저스티스" 팀이 사이버문학광장 《문장웹진》에 연재를 시작했다. 이 연재는 시인 김경주와 시인 Jake Levine영어이 시를 쓰고, 래퍼 MC 메타가 포에트리 슬램 퍼포먼스를 선보이면, 힙합 평론가 김봉현이 해설을 덧붙이는 방식으로 매달 2편의 작품을 발표했다.[55] 스포큰워드 팀 "가론"은 페이스북 페이지 'Cheese & Soju'를 개설하고 워크숍 프로그램 'SPOKEN WORD 101'을 시작했다.[56] 한국여성민우회는 성별 임금격차 문제를 주제로 포에트리 슬램 워크숍과 발표회 '슬램 36.7%'를 개최했으며, 이 행사에는 래퍼 슬릭이 초대되어 공연했다.[57] 래퍼 박하재홍은 '힙합으로 말해봐'라는 이름으로 스포큰워드 워크숍을 진행하고 직접 스포큰워드를 선보이기도 했다.[58] 뮤지션 엠키는 사람들의 사연을 글로 받아 대신 낭독하고 영상으로 게시하는 spokenword.kr 페이지를 열었다.[59]
3. 3. 2018년
2018년, EBS 모바일 콘텐츠 브랜드 모모(MOMOe)는 스포큰워드 콘텐츠 《my VERSE. Day》를 2회 연재했다. 이 콘텐츠의 기획은 스포큰워드 팀 "가론"을 만든 노원스페셜(no.1special, 본명: 박세준)이 맡았다.[60] 노원스페셜은 4월 28일, 서울 연남동의 소규모 공간 '망각'에서 국내 최초의 1인 스포큰워드 공연 《쥬만지》를 선보였으며, 스포큰워드 소셜 클럽 "말하는 오후" 페이스북 페이지를 새로 개설했다. 래퍼 박하재홍은 스포큰워드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다루는 '소셜힙합연구소 3.6.0' 페이스북 페이지를 열었다.[61]김경주, 김봉현, MC 메타가 결성한 "포에틱 저스티스"는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 8월 1일에는 상상유니브인천에서, 9월 7일에는 수원시독서문화축제에서 열렸다. MBC 한글날 특집 다큐멘터리 방송에서는 스포큰워드 소셜 클럽 "말하는 오후"의 노원스페셜과 동료들을 인터뷰하며 스포큰워드를 소개했다.[62]
11월, "포에틱 저스티스"는 사이버문학광장 《문장웹진》에 연재했던 작품들을 모아 듣는 시집 형태의 《일인시위》를 출간했다. 스포큰워드 소셜 클럽 "말하는 오후"는 12월 1일, 서울 신촌의 '소셜팩토리'에서 열린 연극과 스포큰워드의 협업 공연 《나와 너를 잇다》에 참여했다.[63] "말하는 오후"의 운영자 노원스페셜은 스포큰워드 프로그램 개발에 집중하는 회원들을 "비스포큰 크루"라고 이름 붙이고 정기적인 연구 모임을 시작했다. 비스포큰 크루 소속인 정신과 의사 장창현은 정신의학신문에 스포큰워드를 소개하는 글을 기고했다.[64]
3. 4. 2019년
2019년 3월 9일, 그래피티 작가 '레오다브'의 스튜디오 오프닝 파티에서 "말하는 오후"가 공연했다.[65] 4월에는 그리스 미디어 아티스트 '미카일 카리키스'의 개인전 《두렵지 않아》에서 작품 연계 프로그램으로 박하재홍의 스포큰워드 워크숍이 진행되었고, 이는 영상으로 기록되었다.[66] 같은 달 27일, 서울 이화쉼터에서 열린 《예술로 봄》 행사에서도 "말하는 오후"의 스포큰워드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6월 1일, "말하는 오후"는 크리스천 힙합 플랫폼 "포크라이스트"의 루프룹 행사에서 공연을 선보였다.[67] 이어 6월 8일에는 한국의료복지사회적협동조합연합회의 초청으로 '2019 힙합 치유와 함께하는 협동의사연수회'에서 스포큰워드 워크숍을 진행했다.[68] 6월 29일에는 서울의 문화공간에무(emu Artspace)에서 열린 콜렉티브 아트페스티벌 'Stories From Below'에서 "워드스미스(Wordsmiths)"와 "말하는 오후"가 함께 공연했다.[69]
4. 경쟁

스포큰 워드 시는 종종 경쟁적인 환경에서 공연된다. 1990년, 최초의 전국 시 낭송 배틀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렸다.[19] 이 대회는 현재 매년 미국 전역의 다른 도시에서 개최되며, 세계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시 낭송 배틀 대회로 자리 잡았다.[42] 슬램 시의 인기가 높아짐에 따라 카페에서부터 대형 무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장소에서 슬램 시 대회가 전 세계적으로 열리고 있다.
5. 운동
스포큰 워드 시는 단순한 취미나 재능 표현을 넘어, 사회적으로 중요하거나 논쟁적인 메시지를 전달하는 데 자주 사용된다.[43] 이 예술 형식은 종종 인종 불평등, 성폭력 및 강간 문화, 학교폭력 반대, 보디 포지티브 캠페인, 그리고 LGBT 권리 등 다양한 사회 문제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목소리를 낸다.[43]
이러한 운동적 성격은 역사적으로도 깊은 뿌리를 가지고 있다. 특히 미국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 내에서 스포큰 워드는 풍부한 문학적, 음악적 유산을 바탕으로 발전했다. 할렘 르네상스의 시인들, 블루스 음악가들, 그리고 1960년대 비트 세대의 영향을 받았으며,[24][25] 랭스턴 휴스와 같은 작가들은 후대의 힙합 및 슬램 시 예술가들에게 영감을 주었다.[26]
시민권 운동은 스포큰 워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마틴 루터 킹 주니어의 "나에게는 꿈이 있습니다" 연설, 소저너 트루스의 "나는 여자가 아닙니까?" 연설, 부커 T. 워싱턴의 연설 등은 스포큰 워드 운동에 중요한 영향을 끼친 사례로 꼽힌다.[26] 또한, 1960년대 시민권 운동 속에서 결성된 더 라스트 포에츠와 같은 시와 정치 음악 그룹은 스포큰 워드의 대중화에 기여했으며,[27] 길 스콧 헤론의 "혁명은 텔레비전에 방송되지 않는다"와 같은 작품은 스포큰 워드를 더 넓은 사회에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28][45] 말콤 X의 사상을 계승한 블랙 팬서당, 바비 실, 스토클리 카마이클 등 급진적 활동가들도 스포큰 워드를 활용했다.[44]
1980년대부터 등장한 시 슬램은 종종 토너먼트 형식으로 진행되며, 강렬하고 급진적인 내용을 담은 시들이 발표되는 경연의 장이 되었다.[19][43] 이러한 스포큰 워드는 오늘날 대학교 캠퍼스, 유튜브,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을 통해 활발히 공유되고 있으며,[43] 때로는 TED 강연 등을 통해 더 넓은 대중에게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참조
[1]
서적
A Poet's Glossary
Houghton Mifflin Harcourt
2014-04-08
[2]
서적
Committed to Memory
https://archive.org/[...]
Riverhead Books
1996
[3]
간행물
On the Oral Nature of Poetry
Taylor and Francis
[4]
서적
An Introduction to Poetry
https://archive.org/[...]
Longman
1998
[5]
서적
Out of Africa
Random House
[6]
문서
The Music of Poetry
Jackson
1942
[7]
서적
The American Heritage Guide to Contemporary Usage and Style
Houghton Mifflin Harcourt
2005
[8]
서적
Orality and Literacy: Cultural Attitudes
Metheun
1982
[9]
서적
The Sounds of Poetry: A Brief Guide
https://archive.org/[...]
Farrar Straus & Giroux
1999
[10]
서적
A Poets Glossary
Houghton Mifflin Harcourt
[11]
웹사이트
Three-minute poetry? It's all the rage
http://www.thetimes.[...]
2009-12-16
[12]
웹사이트
'Projective Verse': Essay on Poetic Theory
http://www.poetryfou[...]
[13]
문서
Oral Literature in Africa
http://www.oapen.org[...]
Open Book Publishers
2012
[14]
문서
African Traditional Drama and Issues in Theater and Performance Criticism
Comparative Drama
1994
[15]
문서
Oral Literature in Africa
2012
[16]
문서
Drum and Whistle Languages: An Analysis of Speech Surrogates
University of Oregon
1957
[17]
서적
The Gypsies in Poland: History and Customs
Interpress Publishers
1989
[18]
서적
A History of Oral Performance
Burgess
1970
[19]
서적
Poetry Slam: The Competitive Art of Performance Poetry
Manic D
2000
[20]
서적
The elocutionists: women, music, and the spoken word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17
[21]
문서
'Reading list, Biography – Vachel Lindsay'
Poetry Foundation.org Chicago
2015
[22]
간행물
Thank You Thank You
https://www.newyorke[...]
2012-10-26
[23]
간행물
Robert Pinsky
1998-Summer
[24]
서적
Words in Your Face: A Guided Tour through Twenty Years of the New York City Poetry Slam
https://archive.org/[...]
Soft Skull Press
[25]
서적
The Songs in the Key of Black Life: A Rhythm and Blues Nation
Routledge
2003
[26]
웹사이트
Say It Loud: African American Spoken Word
https://folkways.si.[...]
2013-02-15
[27]
웹사이트
The Last Poets
http://www.nsm.buffa[...]
2018-08-26
[28]
뉴스
Gil Scott-Heron, Voice of Black Protest Culture, Dies at 62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5-28
[29]
웹사이트
"The History of Nuyorican Poetry Slam"
http://www.verbsonas[...]
[30]
웹사이트
PSI FAQ: National Poetry Slam
http://www.poetrysla[...]
[31]
웹사이트
Grand Corps Malade - Biography {{!}} Billboard
http://www.billboard[...]
2017-06-16
[32]
웹사이트
Grand Corps Malade
https://www.franceto[...]
2006-07-11
[33]
웹사이트
7 Great songs with Spoken Word Lyrics
http://www.musictime[...]
2014-04-23
[34]
웹사이트
Honour Eludes local writers
https://www.newsday.[...]
2016-05-14
[35]
웹사이트
Accra's biggest poetry and spoken word event set for September 2
https://www.adomonli[...]
2018-07-22
[36]
웹사이트
We must build a poetry community in Ghana -Spoken word artists advocate
https://3news.com/we[...]
2021-05-22
[37]
웹사이트
Ehalakasa TalkParty Plus--Be There or Nowhere
https://freduagyeman[...]
2021-05-22
[38]
웹사이트
Mutombo The Poet of Ghana presents Africa's spoken word to the world
https://www.theafric[...]
TheAfricanDream.net
2019-12-04
[39]
웹사이트
Meet KNUST finest spoken word artist, Chris Parker 'Megborna'
https://hypercitigh.[...]
[40]
웹사이트
Meet KNUST finest spoken word artist, Chris Parker 'Megborna'
https://hypercitigh.[...]
2021-05-22
[41]
간행물
Integration of Work and Leisure in the Performance of Spoken Word Poetry in Kenya
https://jcsll.gta.or[...]
2020-08-18
[42]
웹사이트
Poetry Slam, Inc.
http://www.poetrysla[...]
2012-11-28
[43]
웹사이트
Home - Button Poetry
https://buttonpoetry[...]
[44]
웹사이트
The Last Poets
http://www.nsm.buffa[...]
2018-08-26
[45]
뉴스
Gil Scott-Heron, Voice of Black Protest Culture, Dies at 62
https://www.nytimes.[...]
The New York Times
2011-05-28
[46]
웹사이트
2017年のBeat-itude -佐野元春、ニューヨークを往く
https://www.moto.co.[...]
[47]
서적
랩으로 인문학 하기
탐
2012
[48]
웹사이트
랩과 문학의 만남 '슬램' 워크숍
http://blog.naver.co[...]
[49]
웹사이트
워드스미스 공지 (2013년)
http://nestnada.blog[...]
[50]
뉴스
시&랩…헤어졌던 ‘형제’의 전격 재회
http://www.hani.co.k[...]
한겨레신문
2014-11
[51]
웹사이트
아트세닉 워크숍 공지
http://blog.naver.co[...]
[52]
웹사이트
비트포이트리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
[53]
Youtube
가론:포에트리 잼 유튜브채널
https://www.youtube.[...]
[54]
웹사이트
오디씨 내한공연 공지
https://www.instagra[...]
[55]
뉴스
一 人 詩 爲 (일인시위) '계란파동' – 사이버문학광장 문장 웹진
http://webzine.munja[...]
2017-03-15
[56]
웹인용
한국경제, 박해나기자,2017년 7월 ('스포큰 워드' 전도사 박세준)
http://news.hankyung[...]
2017-03-15
[57]
웹인용
성별임금격차를 까는 '포에트리슬램' 워크숍
http://womenlink.or.[...]
2017-08-25
[58]
웹인용
박하재홍, 우상의 눈물을 읽고
https://www.youtube.[...]
[59]
웹인용
페이스북 스포큰워드_spokenword
https://www.facebook[...]
[60]
웹인용
my VERSE. Day 티저영상
https://www.facebook[...]
[61]
웹인용
소셜힙합연구소 3.6.0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
[62]
웹인용
MBC 한글날 특집 '우리들의 행복한 소통을 위하여'
http://enews.imbc.co[...]
[63]
웹인용
말하는 오후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
[64]
웹인용
스포큰워드, 그 치유의 가능성
http://www.psychiatr[...]
[65]
웹인용
레오다브 그래피티 스튜디오 오프닝 파티
https://m.post.naver[...]
[66]
웹인용
미카일 카리키스 '두렵지 않아' 展 워크숍
https://www.youtube.[...]
[67]
웹인용
포크라이스트: 루프룹 공지
https://www.facebook[...]
[68]
웹인용
힙합 치유와 함께하는 협동의사연수회
https://www.facebook[...]
[69]
웹인용
코리아타임즈 기사
http://m.koreatime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